https://rising2024.rocketpunch.com/
라스콘4 - Rising to Global 🚀
FAQ 🧐
rising2024.rocketpunch.com


라이징 스타트업 콘서트는 로켓펀치에서 주관하는 컨퍼런스다.
트랙 A와 B로 나누어 신청을 받았고 운 좋게 트랙 A에 당첨되어 참석할 수 있었다.



1. 인공지능 세상을 만드는 AIoT : 혁신 기술과 실용 사례
Assistant Professor / Director of Smart Communities and IoT Lab - 김정윤


1. AIoT
a. 기존의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을 융합한 기술
2. AIoT의 장점
a. 초연결성, 초지능성, 초융합성 모든 사물이 사람과 연결되고, 인간의 사고 능력을 뛰어넘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기존 기술로는 융합하지 못한 결합을 새로 만들어 낼 수 있다.
3. 최근 사례
a. 데이터를 분석하고 자동화하는 시스템 기능을 AI와 결합
i. 스마트 홈 시스템
ii. 스마트 시티 시스템
iii. 헬스케어
iv. 제조업
4. 최근 동향
a. 아두이노에서도 사용 가능한 Tiny IoT
i. 디바이스 하드웨어 기술 발달
ii. 강력한 연산 능력
iii. 서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에 유리함
헬스케어 특성상 사용자(고객)의 민감정보를 다룰 수밖에 없는데 특히 볼륨이 큰 AI 기술과 결합 시 서버를 필연적으로 거치게 된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서버 측의 보안이 아닌 AI 기술을 디바이스에 직접 탑재할 만큼 Tiny IoT의 기술이 많이 발전했다고 설명한다.
2. Gen AI for Global Business
Google Cloud Consulting / Engagement Manager - 민헌기

1. Gemini Gen AI
a. 구글에서 개발한 Gen AI
b. Generative AI로 생성형 인공지능
i. 사람이 AI에게 요구 사항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결과를 생성함
c. 이미지와 비디오 Inpainting, Outpainting
i. 현재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 없는 부분을 생성
ii. 또는 있는 부분을 자연스럽게 제거
2. 최근 사례
a. 드라이브 스루 음성으로 주문
b. 판매용 상품 홍보를 위한 세부 정보 작성
c. 챗봇 활용으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d. 회의 영상을 바탕으로 회의록 생성 및 실시간 통역
3. 개발 시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
a. 사람이 할 일과 AI가 할 일의 구분
b. 사용자(사람)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어야 함
c. 모든 사용자의 usecase를 맞추기 어려움 → 하나의 UI/UX로 병합 어려움
구글에서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 Gemini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Gen AI도 웹/앱과 마찬가지로 결국 사용자(사람)가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UI/UX에 많은 신경을 쓴다는 것에 공감을 하였다.
3. 글로벌 IT 회사에서 개발 성과를 창출하는 방법
라쿠텐드라이브 DevOps Lead / 라쿠텐 심포니 코리아 - 최성권



1. 라쿠텐 심포니
a. 일본의 인터넷 종합 서비스 기업 (이커머스, 모바일, 페이먼트)
2. 글로벌 기업 적응
a. 스타트업 창업 후 글로벌 기업 라쿠텐 심포니에 합류
b. 글로벌 기업 특성상 전사 언어가 영어
i. 언어로 인한 의사사통 어려움
ii. 인수인계 영상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움
c. 협업 시 어려움
i. 전 세계 오피스
ii. 시차
iii. 비대면 업무 협업
3. 라쿠텐 업무 시스템
a. 아사카이 (아침조회) -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 제시 가능
b. 리로케이션 (근무지) - 근무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에 환경 적응에 도움
c. 해외 오피스 출근 - 근무지 변경이 아니더라도 타 지역/국가에서 해당 오피스에서 업무 가능
d. 협업했던 동료들을 직접 볼 수 있음
e. 코로나 이후 물리적 거리가 협업 능력에 영향을 많이 주지 않음
1. 라쿠텐 심포니 개발 문화
a. DevOps와 개발자
i. 무한 자유 (다양한 방법)
ii. 무한 책임 (실시간 대응)
iii. 프로덕트 개발 시 다양한 방법과 기술들을 적용하려고 노력함
iv. 대신 그에 따른 결과에 최대한 좋은 결과를 만들려고 함
2. AI 발전과 개발자
a. 최근 AI 모델들의 발전이 뚜렷하게 느껴짐
b. 그로 인해 개발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짐
c. 특정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기술들 접목 가능
3. 주니어 개발자
a. 요구 사항에 맞는 아키텍처를 짤 수 있는 것이 중요
b. 최근 기술들을 많은 루트로 접해봐야 함
경험이 없던 글로벌 기업 적응기를 재미있게 이야기해 주셨다. 해외 여러 곳에 오피스가 있다 보니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을 하고 기회가 된다면 화면에서만 보던 동료들이 있는 오피스로 출근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게 느껴졌다.
그리고 가장 인상 깊었던 무한 자유, 무한 책임 정해진 정답이 없고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개발 문화라고 생각된다.
4. 트위터에서 X로의 진화
X Sr. Client Partner - 김지아






1. X
a. 트위터에서 X로 진화
i. 노출 제한을 통한 표현의 자유 보장
ii. TEXT 위주의 컨텐츠에서 롱 폼, 비디오 컨텐츠 추가
iii. 200개의 추가 서비스와 구독 서비스 시작
b. 네트워크
i. 번호 없이 오디오, 비디오 콜 서비스 추가
ii. X Hiring 구인구직 서비스
iii. Grok AI 모델 개발
1. 사용자들의 공감과 이해 위주
2. 실시간 토픽, 트렌트 유저 반응, 소통 (ex : 어제 주식 장이 왜 떨어졌니?)
2. 클라이언트와 엔지니어
a.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기
b. 캠페인 이슈 발생 시 엔지니어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최대한 시간 벌기
일론 머스크가 Twitter를 인수한 후 X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생긴 이야기를 재미있게 설명해 주셨다. 기존의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컨텐츠에서 200여 개의 신규 서비스를 추가하여 시작한다고 했다.
우리도 AI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