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sole
- document
- alert
- 변수
1) console
javascript 첫 수업이라 기초적인 몇 가지만 구현해 보았다.
console.log('test');
console.log('안녕');
[Running] node "c:\Users\L\Desktop\dev\Becoding.web.docs\02_javascript기본\8일차\01.js"
test
안녕
[Done] exited with code=0 in 0.095 seconds
console.log 코드를 실행시켰을 때 출력되는 내용이다.
2) document
script를 html의 head, body 안에 어디든 넣을 수 있다.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주로 body 맨 끝에 넣는다고 배웠다.
<script>
document.write('공부용<br>');
document.write('문자, 숫자, 모든 태그<br>');
document.write('<h2>제목<h2>');
document.write('<h3>제목2<h3>');
document.write(12345);
document.write('<img src="imgurl" alt="대체텍스트">');
console.log('값체크,중간값체크');
</script>
한 줄 주석을 달땐 똑같이 Ctrl+/ 두 줄 이상 주석을 달 땐 Alt+Shift+a를 사용한다.
() 안에 따옴표를 쓸 땐 ' ', " ", ' " " ', " ' ' " 와 같이 달아준다.
*console와 함께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3) alert
alert('경고메세지,중간값');
위와 같이 경고창을 띄울 때 사용한다.
4) 변수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메모리)
문자, 숫자, 논리값(true/false)
id, pw, 주소, 정보 등 담기
형식
var 변수명 = 값 (사용X)
let 변수명 = 값
const 변수명 = 값
let : 값 변경 O
const : 값 변경 X (상수값)
이름 규칙
1. 영문자, 숫자, _, $ 혼용
2. 첫글자는 숫자를 제외 주로 영소문자
대문자 시작은 주로 클래스명 쓸 때
3. 한글 가능(사용X), 특수문자, 공백 사용 불가
4. 대소문자 구별
5. 두 단어 합칠 때
dog_cat : 스네이크 표기법
dogCat : 카멜(낙타) 표기법
6. 이름은 값을 알아볼 수 있는 영문으로 작성
변수 = 값
그릇1 = 물 : 대입, 치환
그릇2 = 밥
그릇3 = 국
그릇4 = 음료
따라서 밥을 가져오고 싶다면 그릇2를 찾으면 된다.